경제 이야기 친구

UAE가 한국에 300억 달러 투자를 결정 + 7조 5500억원 MOU 체결

ZJ_j 2023. 1. 17. 13:23

먼저UAE 란

아랍에미리트 

이다  이집트와 인도의 사이에 있는 국가 

당연히 알겠지만 수도는 아부다비 ! 

 

화폐는 AED

 

UAE의 모하메드 대통령은 원전과 방산, 수소·태양광 에너지 분야 

좀더 세분화 하면 원자력, 신재생 에너지, 수소, 국방 기술, 기후변화, 우주, 디지털 전환, 첨단 인프라, 스마트 농업, 식량 안보, 수자원 분야 등에 걸쳐 한국와 협력할 예정이다 그리고 이곳에 투자를 300억 한것이다. 

 

추가로 한-UAE 비즈니스 상담회에서 

 

방산, 에너지 등 전통적인 협력 분야뿐만 아니라 수소 생산 및 활용, 바이오, 디지털 전환, 메타버스 등 신산업 분야에서도 계약과 MOU가 이어졌다 한국석유공사는 UAE 아부다비 국영석유회사 애드녹(ADNOC)과 저탄소 수소·암모니아 공동 생산에 대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다. 삼성물산은 아부다비 재생에너지 회사인 마스다르, 아부다비에너지공사(TAQA)와 수소 및 신재생 사업, 송전 및 가스 발전 사업 등에 대해 협력하기로 했다.

메디톡스는 첨단기술 연구 클러스터인 ‘두바이 사이언스 파크’와 MOU를 맺고 보툴리눔 톡신(보톡스) 제제 완제품 생산공장 설립을 추진한다. 국내 기업의 해외 보톡스 생산 공장은 처음이다.

방산 분야에선 현대중공업이 아부다비조선소(ADSB)와 군함 관련 사업 MOU를 체결했다. UAE 인근 국제 정세와 연결돼 있어 구체적 사항을 밝히진 않았지만 해군용 군함 설계 및 구축과 관련한 협업일 것으로 알려졌다. LIG넥스원은 현지 방산업체 TTI와 미사일 수출 방안을 협의하기로 했다. LIG넥스원은 지난해 한화시스템 등과 함께 UAE에 한국형 패트리엇 ‘천궁Ⅱ’를 4조 원어치 공급하는 계약을 맺었다.

 

금액으로 다시 나열하면 

  원전·전력 분야는 원전 기자재 업체인 ㈜유니슨에이치케이알을 비롯하 코리아누클리어파트너스㈜ 등 5개 국내기업들이 참가하여 43건의 상담 진행하고 460만불의 계약을 추진하기로 하였다.

 

   플랜트·인프라 분야는 쌍방향 전기집진기 업체인 ㈜리트코  3개 국내기업들이 참가하여 22의 상담이 이루어졌다.

 

   스마트시티·문화관광 분야는 숙박·여가 플랫폼인 ㈜야놀자를 비롯하여 렌터카 기반 O2O 서비스 기업인 ㈜캐플릭스, 디지털도어락 기업인 ㈜라오나크 등 9개 국내기업들과 50건의 상담이 진행되어, 250만불 규모 계약을 추진하기로 하였다.

 

   방산·보안 분야는 종합 방산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비롯하여 X-ray detector 및 시스템 제조업체인 ㈜본테크 등 4개 국내기업들이 참여하여  28건의 상담을 진행하고 300만불의 계약을 추진하기로 하였다.

 

   스마트팜 분야는 공기 중에서 식물을 키우는 에어로포닉스(Aeroponics) 농법을 개발한 ㈜미드바르사를 포함한 엔씽, 우듬지팜㈜ 등 7개 국내기업들이 참여하여 54건의 상담을 통해 45만불의 수출계약을 추진하기로 한 한편,

 

   프리미엄 소비재 분야는 할랄 인증을 보유한 ㈜강동오케익, ㈜진삼 등 식품 기업과 인조잔디 업체 코오롱글로텍㈜, 바이오·의료기기 업체 에이엠메딕스 등  8개 국내기업들  60건의 상담을 진행하고 19만불의 계약추진액을 달성하였다.

 

 

이걸 나열하는 이유는 이 회사들 주식이 엄청 올랐을거 같고, 또 파생 산업에서 주식도 올랐을거 같고 오를꺼니까 

다들 버스에 탑승하셈....

 

지금은 uae이지만 이번 협력 사례를 통해 기업들은 중동으로 두바이를 비롯한 사우디, 이집트, 등으로 뻗어 나가 성장을 지속해 나갈 것으로 개인적으로 전망한다. 

 

 

아래는 관심기사 :

대통령실 “UAE, 한국에 300억 달러 투자 결정”…한·UAE 정상회담 - 정책뉴스 | 뉴스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korea.kr)

 

 

 

 

여담 : 나는 스마트 팜에 관심이 좀 가고있다 다음에 스마트 팜에 대해 다시 작성할 수 있도록 해보겠다